■ 진행 : 김대근 앵커 <br />■ 출연 : 양경수 /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내년 최저임금이 9,620원으로 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이번에도 노사 모두 반발하는 상황인데요. 월급보다 물가가 더 올랐다. 원자잿값이 올라 주고 싶어도 못 준다. <br /> <br />결국 사측은 이의 제기를 할 거라고 하죠.그럼 노동계는 어떻게 할지, 그 핵심관계자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 연결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원장님, 안녕하십니까. <br /> <br />[양경수] <br />반갑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아침 일찍 연결 감사드립니다. <br /> <br />내년도 최저임금 9620원. 올해보다 5% 올랐습니다. 이것과 관련해서 입장 어떠십니까? <br /> <br />[양경수] <br />사실 노동자들이 임금 빼고는 모든 것이 다 올랐다고 할 정도로 굉장히 가파른 물가 인상이 진행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올해 최저임금은 그래서 어느 때보다 심도 있게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정해놓은 수순대로 공익위원들의 입장대로 결정된 것에 대해서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노측에서는 물가가 너무 올랐다,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고요. <br /> <br />그리고 사측에서는 중소영세기업 같은 경우에는 지불 능력이 안 된다. 그리고 원자재값이 너무 올랐다, 이렇게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서는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? <br /> <br />[양경수] <br />실제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면서 중소한 기업들이나 영세 자영업자들이 굉장히 많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는 것에는 저희도 깊이 공감을 합니다. 또한 노동자들도 굉장히 많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사실 지불 능력을 갖고 있는 재벌사들이라든지 대기업들이 어느 때보다 높은 이윤을 확보하고 있는 조건이거든요. 이런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데 모든 것을 최저임금 탓으로 돌리면서 노동자들에게만 허리띠를 졸라매라 이렇게 요구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저임금과 관련한 입장을 들어봤고요. <br /> <br />그렇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향과 관련된 얘기를 해보겝니다. 지금 쟁점이 되는 게 주 단위로 관리하는 연장근로시간을 이제 노사 합의를 거쳐서 월 단위로 관리하자, 이게 지금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주52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63009224957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